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_ Seoul Biennale of  Architecure and Urbanism, 2017

전시참여주제 : 도시전_창원시
일시 : 2017.09.02~11.05 
장소 : 동대문디자인플라자
링크 : http://www.seoulbiennale.org/

2017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는 작가와 작품이 아닌, 주제와 제안의 비엔날레이다. ‘아홉 가지 공유’ 라는 주제를 기반으로 한 주제전, 세계도시들의 선도적인 공공 프로젝트들을 선보이는 도시전과 함께 생산과 식량, 보행 등 서울의 현장성을 통하여 현안을 논의하는 현장 프로젝트가 있다. 국제스튜디오, 영화영상 프로그램과 교육프로그램, 투어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시민참여 프로그램을 통하여 시민들이 활발하게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였다. _비엔날레 홈페이지 


THREE CITIES, Assemblage Urbanism
Changwon / Cities Exhibition / Seoul Biennale 2017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창원시의 주제는 구 마산, 구 창원, 구 진해 세 도시가 통합되어 만들어진 통합 창원시의 도시 건축이다. 〈세 도시: 통합도시〉는 서울비엔날레 전체 주제인 ‘공유도시’의 틀에서 인위적인 국가 개입이 세 도시의 도시 건축의 경로에 가져온 현상들을 다양한 차원에서 보고하고, 앞으로의 변화방향을 제안하는 지역 작가들과 연구자들의 작은 선언이다. 이번 전시에서 주목하는 조건은 다음 두 가지이다. 첫째, 역사적 전환 사건들에 의한 각 도시들의 필지와 결합된 도시 및 건축의 생성과정과 둘째, 건축적 관점에서 지역성을 설명할 수 있는 건축적 그리고 사회적 매개변수들이다. 인위적인 국가개입에 의해 만들어진 창원의 건축, 도시 공간 구조에 대응하는 참여 작가들의 건축적 선언을 포함하기 위해 세 개의 리서치를 선정했다. 이 리서치와 제안을 통해 어셈블리지 창원의 생성 방향에 대해 작은 선언을 제시하고 더 많은 창원 시민들의 참여를 제안한다. _ 박진석


전시모습

창원, 재배치의 가능성
1974년 대형 중공업 산업 육성을 위한 국가산업단지 유치를 위해 계획도시로 만들어진 창원은 일제 근대화 시대를 통한 변화를 겪은 구 마산, 구 진해와 달리 현대적 도시계획에 의해 만들어진 도시이다. 하지만 건축적인 스케일로, 주거지역 건축물들의 특징에 주목한다면 보다 다른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.
주거전용지역의 개별필지에는 계획도시 초기에 대량으로 공급된 1970년대에서 1980년대 사이에 지어진 조적식 구조의 노후주택이 현재까지 점유하고 있다. 70~80평 규모의 PLOT에는 개별적인 주거환경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단순히 전면도로에 접한 입면이 건물의 정면이 되도록 배치하는 획일적인 디자인 기준에 의해 구축되었다.
2010년 세 도시가 통합된 이후, 산업단지의 배후도시로서 비교적 안정적인 삶을 누리고 있는 구 창원의 단독주택 소유주들은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노후한 주택을 개량하거나 신축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. 이러한 경우, 상대적으로 구 마산과 구 진해에 비해 건축주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은 좀 더 다양하다. 이는 계획도시의 특성상 지형의 변화가 경미하고, 주어진 PLOT의 면적이 단독주택지로 적정하며, 개별필지는 항상 전면도로와 접하고 있기 때문이다. 그러나 지금 노후주택 철거 후 신축되고 있는 주택은 여전히 개별필지가 가진 특성을 외면한 채 매매를 위한 최적의 규모와 형태로 지어지고 있다.
따라서 본 연구 프로젝트는 기존 필지를 점유하고 있는 획일화된 주택에 작지만 강한 ‘틈’을 만들어 개별적인 주거환경을 개선할 뿐 아니라 주거 공동체 구성이 가능한 집합적인 변화를 자연스럽게 유도하고자 한다. 이는 마치 막힌 혈 자리에 침을 놓아 전체의 흐름을 회복시키는 모습과도 같다.  제안된 주택 PLOT의 열린 공간들이 이웃 PLOT들과 좀 더 다양한 관계를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할 것이다.
김현수


LEECHOE HOUSE, 2016 



Curator  박진석
Art Director 정진경
Designer 김현수, 류창현, 서정석 
Researcher  박진호, 김동완

이소우
건축사
사무소


Back to Top